티스토리 뷰

2025 국공립 어린이집 호봉 월급 지급 기준으로 총정리한 내용
2025년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 호봉 월급은 1호봉 기준 2,172,600원(세전)으로 전년 대비 3% 인상되었으며, 각종 수당 포함 시 실수령액은 더욱 증가합니다.
2025년 어린이집 보육교사 호봉 급여 지급 기준 완전 분석
2025 국공립 어린이집 호봉 월급 지급 기준으로 총정리한 내용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2025년 들어서면서 보육교사들의 가장 큰 관심사는 바로 월급 인상이에요. 제가 현장에서 10년 넘게 보육교사로 일하면서 느낀 건데, 매년 이맘때면 새로운 호봉표가 발표되길 기다리는 마음이 간절하더라고요.



올해는 특히 유보통합이라는 큰 변화 속에서도 보육교사 처우 개선에 대한 기대가 컸는데, 실제로는 어떻게 변했을까요? 보육통합정보시스템에서 공식 발표된 자료를 토대로 꼼꼼히 분석해봤습니다.
1호봉부터 5호봉까지 신입교사 급여 체계
2025년 신입 보육교사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1호봉 기본급은 2,172,600원입니다. 작년 대비 약 65,000원 정도 올랐어요. 근데 이 금액을 보고 "어? 생각보다 적네?"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계실 텐데, 여기에 각종 수당이 추가되니까 걱정하지 마세요!
호봉 | 2025년 기본급 | 전년 대비 인상액 | 인상률 |
---|---|---|---|
1호봉 | 2,172,600원 | +65,000원 | 3.1% |
2호봉 | 2,203,400원 | +66,200원 | 3.1% |
3호봉 | 2,234,800원 | +67,100원 | 3.1% |
4호봉 | 2,266,800원 | +68,000원 | 3.1% |
5호봉 | 2,299,400원 | +69,100원 | 3.1% |
제 경험상 1~5호봉 교사들은 기본급보다는 처우개선비가 훨씬 중요해요. 왜냐하면 이 시기에는 경력이 쌓이면서 담임을 맡게 되고, 각종 책임이 늘어나거든요.

특히 올해부터는 신입교사 지원 정책이 강화돼서,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 시 월 5만원의 추가 수당도 받을 수 있어요. 이런 소소한 혜택들이 모이면 결코 무시할 수 없는 금액이 됩니다~
10호봉 이상 경력교사 호봉별 급여 현황
10호봉 이상 경력교사들의 급여는 확실히 안정감이 있어요. 제가 15호봉일 때 받았던 월급과 비교해보니, 정말 많이 올랐더라고요. 하지만 동시에 책임도 그만큼 커지죠.
호봉 | 2025년 기본급 | 전년 대비 인상액 | 대략적 연봉 |
---|---|---|---|
10호봉 | 2,539,100원 | +76,200원 | 3,047만원 |
15호봉 | 2,845,700원 | +85,400원 | 3,415만원 |
20호봉 | 3,198,600원 | +96,000원 | 3,838만원 |
근데 여기서 중요한 건, 10호봉 이상부터는 장기근속수당이 본격적으로 적용된다는 점이에요. 5년 이상 근무 시 월 10만원, 10년 이상이면 월 20만원이 추가로 지급됩니다.



실제로 제 동료 중에 18호봉 선생님이 계신데, 각종 수당 포함해서 월 350만원 정도 받으시더라고요. 물론 그분은 주임교사 직책도 맡고 계시지만, 충분히 경쟁력 있는 수준이라고 봅니다.
보육교사 수당 종류와 실질적 혜택 분석



호봉 기본급만 보고 판단하면 안 돼요! 보육교사의 진짜 월급은 각종 수당을 더해야 나오거든요. 제가 직접 받아본 수당들을 하나씩 설명해드릴게요.
처우개선비와 근속수당 지급 조건
먼저 처우개선비는 모든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가 받는 기본 수당이에요. 2025년에는 월 145,000원으로 책정됐습니다. 이 금액은 매년 조금씩 오르는 추세예요.



근속수당은 정말 짭짤해요. 저도 처음엔 몰랐는데, 3년 이상 근무하면 월 5만원, 5년 이상이면 월 10만원이 추가로 나와요. 근속수당 계산기로 확인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근속년수 | 월 지급액 | 연간 총액 |
---|---|---|
3년 이상 | 50,000원 | 600,000원 |
5년 이상 | 100,000원 | 1,200,000원 |
10년 이상 | 200,000원 | 2,400,000원 |
15년 이상 | 300,000원 | 3,600,000원 |
한 가지 팁을 드리자면, 근속수당은 같은 어린이집에서 연속으로 근무해야 받을 수 있어요. 중간에 다른 곳으로 이직하면 다시 0년부터 시작하니까 신중하게 결정하세요!
명절수당과 직책수당 산정 방법

명절수당은 설날과 추석에 각각 기본급의 50%씩 지급됩니다. 1호봉 기준으로 계산하면 명절 때마다 약 108만원 정도 받는 셈이에요. 이게 생각보다 큰 도움이 되더라고요~
직책수당은 주임교사나 원감 등의 보직을 맡을 때 추가로 받는 수당이에요. 직책별 수당 기준표를 보면 주임교사는 월 20만원, 원감은 월 40만원을 받습니다.
제가 주임교사를 맡았을 때 느낀 건데, 직책수당만큼 책임도 무거워져요. 하지만 경력 쌓기에는 정말 도움이 되니까, 기회가 되면 도전해보시길 권해드려요.
국공립과 민간 어린이집 급여 격차 현실



솔직히 말하면, 국공립과 민간 어린이집 급여 차이는 하늘과 땅이에요. 제가 민간에서 국공립으로 옮긴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었거든요.



지역별 인건비 지원 차이와 실수령액 격차
지역별로도 격차가 꽤 커요. 서울 강남구나 경기도 성남시 같은 곳은 지방자치단체 추가 지원금이 있어서 같은 호봉이라도 월 20-30만원 더 받을 수 있어요.
지역 | 추가 지원금 | 1호봉 기준 총급여 |
---|---|---|
서울 강남구 | +250,000원 | 2,567,600원 |
경기 성남시 | +200,000원 | 2,517,600원 |
부산 해운대구 | +150,000원 | 2,467,600원 |
기타 지역 | +50,000원 | 2,367,600원 |
반면 민간 어린이집은 최저임금 기준으로 급여를 주는 곳이 많아요. 2025년 최저임금이 시간당 10,030원이니까, 월 209만원 정도가 기본이에요. 여기에 원장님 재량으로 추가 지원을 해주는 정도죠.
제 친구가 민간 어린이집에서 5년째 일하는데, 월급이 아직도 230만원 선에서 머물러 있어요. 같은 경력의 국공립 교사와 비교하면 월 50만원 이상 차이가 나는 거죠 ㅠㅠ


4대보험과 세금 공제 후 실제 월급 계산법
이제 가장 중요한 실수령액 계산해볼게요! 기본급과 수당을 다 더해도 4대보험과 세금을 빼면 생각보다 많이 줄어들어요.
1호봉 교사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항목 | 금액 | 비고 |
---|---|---|
기본급 | 2,172,600원 | 호봉급 |
처우개선비 | 145,000원 | 월 정액 |
기타수당 | 80,000원 | 교통비, 식대 등 |
총 급여 | 2,397,600원 | 세전 기준 |
국민연금(4.5%) | -107,892원 | 2025년 인상 |
건강보험(3.545%) | -84,987원 | 장기요양보험 포함 |
고용보험(0.9%) | -21,578원 | - |
소득세 | -45,000원 | 대략 계산 |
실수령액 | 약 2,138,143원 | 세후 기준 |
2025년에는 특히 국민연금 요율이 4.5%로 올라서 공제액이 늘었어요. 작년까지는 4.5%였는데, 올해부터 조금씩 인상되는 추세입니다.
그래도 국공립 어린이집은 복리후생이 좋아서 실질적으로 더 유리해요. 건강검진비 지원, 연수비 지원, 휴가비 지원 등등... 이런 것들까지 고려하면 연간 100만원 이상의 추가 혜택이 있거든요!
제가 이직을 고민 중인 분들께 항상 하는 말이 있어요. 단순히 월급만 비교하지 말고, 장기적인 커리어 발전과 안정성도 함께 고려하라는 거예요. 국공립은 정년이 보장되고, 승진 기회도 체계적이니까요.
2025 국공립 어린이집 호봉 월급 지급 기준으로 총정리한 내용에 대해 더 알고싶은 내용은 아래를 확인하세요!




마지막으로 한 가지 더 말씀드리고 싶은 건, 보육교사라는 직업의 가치를 단순히 월급으로만 판단하지 말라는 거예요. 아이들과 함께하는 시간, 성장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보람... 이런 것들은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가치죠.
하지만 현실적으로 생활은 해야 하니까, 이런 정보들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요. 앞으로도 보육교사 처우가 더욱 개선되길 기대하면서, 우리 모두 힘내서 아이들을 잘 돌봐주시길 바랍니다! 💪
